너무 오래도 되었고 그닥 열심히 한 과목도 아니어서 ㅠㅠ
다시한번 리마인드 하고자 유닉스에 대해 알아봅시다
유닉스란????
1969년 미국 AT&T사의 벨연구소 켄 톰슨(Ken Thompson)이 DEC사의 미니 컴퓨터 PDP-7에서 어셈블리언어로 단일 사용자용인 유닉스(Unix)의 제1버전을 개발하였으며, 1972년 데니스 리치(Dennis Ritchie)가 고급언어인 C언어로 다시 작성하였다.
유닉스를 탑재한 워크스테이션의 발매와 함께 보급되어 현재는 개인용 컴퓨터, 대형 컴퓨터, 마이크로 컴퓨터에 이르기까지 많은 종류의 컴퓨터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거의 어떤 컴퓨터에도 이식이 가능하다. 유닉스는 멀티태스킹, 멀티유저를 지원하는 오퍼레이팅시스템(OS)으로 프로그램개발, 문서처리, 전자우편 등의 기능이 뛰어나다.
지금까지의 유닉스 시스템은 크게 두 부류로 발전되어 왔다. 하나는 AT&T사가 상품화한 유닉스 시스템 시리즈이고, 다른 하나는 버클리대학에서 만든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유닉스이다.
이들은 각각 독자적인 기능을 부여하여, 같은 유닉스지만 호환성이 없고 이식성이 떨어지는 혼란을 가져왔다. 이러한 유닉스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국의 유닉스 사용자 모임은 1984년 표준화위원회를 설립하여 유닉스의 표준화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표준화작업으로 유닉스 사용자는 시스템마다 프로그램을 변경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공유하여 공통된 환경을 사용할 수 있는 등 많은 이익을 얻게 되었다.
유닉스를 탑재한 워크스테이션의 발매와 함께 보급되어 현재는 개인용 컴퓨터, 대형 컴퓨터, 마이크로 컴퓨터에 이르기까지 많은 종류의 컴퓨터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거의 어떤 컴퓨터에도 이식이 가능하다. 유닉스는 멀티태스킹, 멀티유저를 지원하는 오퍼레이팅시스템(OS)으로 프로그램개발, 문서처리, 전자우편 등의 기능이 뛰어나다.
지금까지의 유닉스 시스템은 크게 두 부류로 발전되어 왔다. 하나는 AT&T사가 상품화한 유닉스 시스템 시리즈이고, 다른 하나는 버클리대학에서 만든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유닉스이다.
이들은 각각 독자적인 기능을 부여하여, 같은 유닉스지만 호환성이 없고 이식성이 떨어지는 혼란을 가져왔다. 이러한 유닉스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국의 유닉스 사용자 모임은 1984년 표준화위원회를 설립하여 유닉스의 표준화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표준화작업으로 유닉스 사용자는 시스템마다 프로그램을 변경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공유하여 공통된 환경을 사용할 수 있는 등 많은 이익을 얻게 되었다.
유닉스 이야기를 하면서 리눅스 이야기를 안 할 수 없다.
리눅스는 무료로배포되었는데 유닉스와 거의 유사하며 과거에는 유닉스에 비해
성능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매우 발전하여 사용자가 많이 늘엇다고하네요
Linux
. 핀란드 헬신키 대학의 Linus Torvalds에 의하여 처음 개발(1991년)된 UNIX의 공개버전이고
무료로 배포된다.
. Linux의 커널은 AT&T 또는 기존의 코드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UNIX가 가지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특성과 응용 프로그램들을 가지고 있다. VFS(Virtual File System), 네트워킹,
다중사용자 다중태스킹 등의 특성과 X 윈도우 그리고 GNU(Gnu's Not Unix)의 모든 유틸리 티들을 포함한다.
. IEEE의 POSIX.1 표준과 호환성을 갖는다.
. 하드웨어 요구사항은 최소한 80386 프로세서, 최소 100MB의 디스크 공간, 4MB RAM 등이다.
다음으로는 우리가 그렇게 배웠던 명령어들~
아 참 기억나는게 ls랑 cp랑 chmod였나 요것밖에 없다 ㅠㅠ
오랫만에 보니 새로웠음
그렇다면, 왜 윈도우말고 이렇게 복잡하고 재미없는 유닉스를 쓰는걸까?
어떤 치명적인 장점이 있기에 ...
유닉스를 쓰는걸까
그래서 알아보았다.
........이른바 '유닉스의 장점'
unix의 장점
unix시스템은 고급언어인 c로 작성되어 수정, 보안이 쉽다
운영체제 커널의 크기가 작다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프로그램들의 결합을 통해 복잡한 프로그램을 구축할 수 있는 기능을
시스템 원시 명령으로 제공한다.
파일 시스템이 계층적 구조를 갖고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효율적인
구현이 가능하다
파일의 양식이 일관디게 *바이트 스트림이기 때문에 응용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쉽다
주변 장치에 대한 간단하고 일관성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다중사용자, 다중테스킹 시스템이다
자세한 구조를 사용자로부터 가려서 상이한 하드웨어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소스코드가 공개된 개방형 시스템이다
유닉스가 c언어로 되어 있다고 하니 왠지 반가웠다.
우리가 배운 c언어가 이렇게 대단한 거였다니,,,.
모르는 단어가 하나 나왔네...
'바이트 스트림'
비트스트림은 전기통신과 컴퓨터에 예외적으로 쓰인다. 이를테면 SDH 통신 기술은 동기 비트스트림을 전달하며 TCP 전송 프로토콜은 동기 타이밍 없이 비트스트림을 전달한다.
비트스트림을 가져와 기억 장치의 매체에 저장할 때 컴퓨터 파일이 만들어진다.
비트스트림이라는 용어는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로 불러들일 구성 데이터에 대해 이야기할 때 언급된다. 이러한 이용은 일련의 비트 스트림(일반적으로 플래시 메모리 칩이나 PROM)으로부터 FPGA를 구성하는 공통 방식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대부분의 FPGA들은 바이트 병렬 로딩 방식도 지원한다.
이만 마칠까 한다.
리눅스의 특징,장점등등 관련된 정보가 책 한권도 넘을만큼 많지만
아주 ~~간단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
참고자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