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백과사전에서 찾아본 정의는 바로 이렇다.
계층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물리 계층은 실제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적, 물리적 세부 사항들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핀들의 배치나 전압, 전선의 명세 등이 이 계층에 포함된다. 허브나 리피터가 물리 계층의 장치이다. 기계적 구조와 전기적 특성을 규정한다. 물리 계층에서 수행되는 중요한 일들은 다음과 같다.
물리적인 정보 전달 매개체에 대한 연결의 성립 및 종료. 여러 사용자들 간의 통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데 관여. 예를 들어, 경쟁 상태의 해소나 흐름 제어 등.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의 디지털 데이터를 이에 상응하는 신호들로 변환, 변조. 이 신호들은 구리선이나 광섬유 선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들로, 예를 들어, SCSI가 여기에 속한다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 비트를 전송하는 계층으로, 데이터 링크 개체간의 비트 전송을 위한 물리적 연결을 설정, 유지,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물리계층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은 회선교환, 메시지 교환, 패킷교환 방식이 있다. 전송 매체는 신호 보내는 방법을 정의한다.
계층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은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int) 간 신뢰성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으로 CRC 기반의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위의 개체들 간 데이터를 전달하고,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찾아 내고, 수정하는 데 필요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
주소 값은 물리적으로 할당 받는데, 이는 네트워크 카드가 만들어질 때부터 맥 주소(MAC address)가 정해져 있다는 뜻이다. 주소 체계는 계층이 없는 단일 구조이다. 데이터 링크 계층의 가장 잘 알려진 예는 이더넷이다.
이 외에도 HDLC나 ADCCP 같은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프로토콜이나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나 LLC, ALOHA같은 근거리 네트워크용 프로토콜이 있다. 네트워크 브릿지나 스위치 등이 이 계층에서 동작하며, 직접 이어진 곳에만 연결할 수 있다.
계층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은 여러개의 노드를 거칠때마다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하는 계층으로 다양한 길이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달하고, 그 과정에서 전송 계층이 요구하는 서비스품질(QoS)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계층은 라우팅, 흐름 제어,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desegmentation), 오류 제어,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 등을 수행한다. 라우터가 이 계층에서 동작하고 이 계층에서 동작하는 스위치도 있다.
데이터를 연결하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인터넷이 가능하게 만드는 계층이다. 논리적인 주소 구조(IP), 곧 네트워크 관리자가 직접 주소를 할당하는 구조를 가지며, 계층적(hierarchical)이다.
서브네트의 최상위 계층으로 경로를 설정하고, 청구 정보를 관리한다. 개방 시스템들의 사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 유지, 해제하는 기능을 부여하고, 트랜스포트 개층사이에 네트워크 서비스 데이터 유닛(NSDU : Network Service Data Unit)을 교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계층 4: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전송 계층은 양 끝단(End to end)의 사용자들이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 주어,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생각하지 않도록 해준다. 시퀀스 넘버 기반의 오류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전송 계층은 특정 연결의 유효성을 제어하고, 일부 프로토콜은 상태 개념이 있고(stateful), 연결 기반(connection oriented)이다. 이는 전송 계층이 패킷들의 전송이 유효한지 확인하고 전송 실패한 패킷들을 다시 전송한다는 것을 뜻한다.
가장 잘 알려진 전송 계층의 예는 TCP이다.
종단간(end-to-end) 통신을 다루는 최하위 계층으로 종단간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데이터를 전송하며, 기능은 오류검출 및 복구와 흐름제어 등을 수행한다.
계층 5: 세션 계층(Session layer)
세션 계층은 양 끝단의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동시 송수신 방식(duplex), 반이중 방식(half-duplex), 전이중 방식(Full Duplex)의 통신과 함께, 체크 포인팅과 유휴, 종료, 다시 시작 과정 등을 수행한다. 이 계층은 TCP/IP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책임을 진다.
통신하는 사용자들을 동기화하고 오류복구 명령들을 일괄적으로 다룬다.
계층 6: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은 코드간의 번역을 담당하여 사용자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형식상 차이를 다루는 부담을 응용 계층으로부터 덜어 준다. MINE인코딩이나 암호화 등의 동작이 이 계층에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EBCDIC로 인코딩된 문서 파일을 ASCII로 인코딩된 파일로 바꿔 주는 것이 표현 계층의 몫이다.
계층 7: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은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한다.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는 관련된 응용 프로세스들 사이의 전환을 제공한다. 응용 서비스의 예로, 가상 터미널(예를 들어, 텔넷), "Job transfer and Manipulation protocol" (JTM, 표준 ISO/IEC 8832) 등이 있다.
네트워크 7계층에 대해, 핵심만 꼭 짚어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제 7계층)
사용자, 즉 단말기를 조작하는 사람이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등에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분 이다.
프리젠테이션 계층(제 6계층)
애플리케이션이 다루는 정보를 통신에 알맞은 형태로 만들거나, 하위 계층(세션계층)에서 온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일 등 전송 형식에 관한 책임을 가지고 있다.
세션 계층(제 5계층)
두 프로세스 사이에 데이터가 흐를 수 있는 가상 경로의 확립이나 해제를 수행 하게 된다.
전송 계층(제 4계층)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도착시키는 역할이다.
데이터 링크 계층(제 2계층)
데이터를 나타내는 비트의 정보를 회선에 내보내기 위한 전기적 변환이나 기계적 작업을 담당하게 된다.
네트워크 7계층보다, 네트워크4계층이 더 많이 쓰인다고 할 정도로 요즘에는 4계층으로 나누는 경우도 많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4계층에 대하여 알아보자.
4 Layer : Application Layer
3 Layer : Transport Layer (<-- TCP Protocol)
2 Layer : Internet Layer (<-- IP Protocol)
1 Layer : Network Access Layer
이 각각의 레이어들은 7계층과 무관하지 않다.
7계층과 4계층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OSI 7계층 中 7~5계층 <-> TCP/IP 中 4계층
OSI 7계층 中 4계층 <-> TCP/IP 中 3계층
OSI 7계층 中 3계층 <-> TCP/IP 中 2계층
OSI 7계층 中 상위 2~1계층 <-> TCP/IP 中 1계층
네트워크 7계층 중, 3계층에 쓰이는 장치로 라우터라는 것이있다.
라우터는 쉽게 이야기해서 기업용 공유기라고 할 수있다.
-현재 판매중인 라우터
3계층 장비의 대표격인 라우터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2계층장비인 스위치, 1계층장비인 허브도 많이 쓰는 장비이다.
최근에는 3계층 스위치, 2계층 허브도 있다.
7레이어에 대해 할 말이 많지만
ㅠㅠㅠ]
시험기간이라
여기까지만 할게요 ㅠㅠ
참고자료
http://ko.wikipedia.org/wiki/OSI_%EB%AA%A8%ED%98%95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8&docId=65195247&qb=64Sk7Yq47JuM7YGsN+qzhOy4tQ==&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gdeU6soi5T0sst%2B3fj0sss--276100&sid=TQRVnTY9BE0AAFKwGc4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801&docId=65345664&qb=TkVUV09SSyBBQ0NFU1MgTEFZRVI=&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1
물리 계층(제 1계층)두 프로세스가 데이터를 능률적이고 확실하게 상대방에게 도착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
네트워크 계층(제 3계층)
댓글 없음:
댓글 쓰기